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바로가기
열기
HOME > 기관안내 > 세이브더칠드런이야기 > 나눔이야기

기관안내

후원하기

나눔이야기

글조회
신생아 사망, 이제 그만 (Ending Newborn Deaths) 페이스북 트위터 퍼가기 인쇄
작성일 2014-02-26 조회수 31153

방글라데시의 시골 마을에 사는 세팔리 씨는 여섯 아이를 출산했지만 살아남은 아이는 세 명뿐입니다. 숨진 세 명은 모두 태어나고 일주일을 넘기지 못했습니다. 세팔리 씨는 여섯 번 모두 조산사나 의사 없이 집에서 출산했습니다. 세팔리 씨가 사는 곳은 너무나 외지고 교통이 불편한 곳이어서 가장 가까운 의원까지 가려면 대여섯 시간이나 걸립니다. 의원에 갈 수 있다 해도 의료비를 지불할 돈이 없습니다. 세팔리 씨가 의사에게 갈 수만 있었더라면 아이를 살릴 수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세이브더칠드런은 이달 25일 “신생아 사망, 이제 그만 Ending Newborn Deaths”이라는 보고서를 펴냈습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에 사망한 5세 미만 영유아는 660만 명이었습니다. 그런데 이중 절반 가까운 290만 명이 생후 한 달(28일) 이내에, 다시 이중 3분의 1 가량인 100만 명이 생후 하루(24시간) 이내에 숨진 경우였습니다. 이는 출산 직후의 시기가 아기에게 얼마나 위험한 시기인지를 보여 줍니다.


          사진/산모에게 ‘캥거루 케어’ 방법을 알려 주고 있는 네팔의 조산사 푸쉬파 씨. 캥거루 케어는 엄마와               
           아기의 맨살이 닿도록 아기를 엄마 품에 안아 신생아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푸쉬파 씨는 얼마전 
          세이브더칠드런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출산시 신생아에게 필요한 조치에 대해 교육을 받았다.
                 16살 때 끔찍한 출산 경험을 겪고 나서 조산사가 되기로 마음 먹은 푸쉬파 씨는 조산사 교육을 통해          
 여성뿐 아니라 아기의 생명도 살리고 있다.                                                      
              

게다가 “생후 첫날 사망한 아이 100만 명”이라는 숫자는 아기가 첫날 겪는 위험을 다 드러내고 있지도 않습니다. 여기에는 사산아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출산 과정 중에 사망한 사산아”가 120만 명에 달합니다. 이들은 산모가 진통을 시작할 때까지만 해도 심장이 뛰고 있었던 아기들입니다. 생존하여 태어났으나 첫날을 넘기지 못한 아이 100만 명과 출산 과정이 시작되기 직전까지는 살아있었으나 출산 과정을 넘기지 못하고 숨진 채 태어난 사산아 120만 명을 합하면 태어난 (혹은 태어났어야 할) 날 숨진 아기는 총 220만 명에 달합니다. 신생아 사망 통계들은 주로 생존 출생아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첫날의 비극’의 진정한 규모는 사실 그보다 훨씬 큰 셈입니다.

태아, 신생아, 산모에게 공히 가장 위험이 큰 시기는 출산 과정과 출산 직후입니다. 바꿔 말하면, 출산일을 전후한 이 시기에 산모와 아기에게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 일례로, 태어나는 아기의 10% 정도는 누군가의 도움이 없으면 첫 숨을 쉬지 못하는데, 이렇듯 무호흡증을 보이는 아기들은 등 부분을 문질러주는 간단한 조치만으로도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네팔 시골 마을에 사는 아샤 씨의 딸도 태어나자마자는 숨을 쉬지 못했지만 조산사 푸쉬파 씨가 호흡 처치를 해준 덕에 살아날 수 있었습니다.

푸쉬파 씨는 자신의 끔찍한 출산 경험 때문에 조산사가 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열여섯 살이던 그때 푸쉬파 씨는 나흘이나 이어지는 진통을 겪었습니다. 전문 조산사나 의료인은 옆에 없었고 마을 사람들은 “이렇게 해야 아기를 밀어내는 데에 도움이 된다”며 푸쉬파 씨의 손을 나무에 묶어 놓았습니다. 푸쉬파 씨는 고통스럽게 출산하는 여성들을 돕고 싶어 간호사가 되기로 마음먹었고, 최근에는 세이브더칠드런의 프로그램을 통해 조산사 교육을 받아 여성뿐 아니라 아기의 생명도 살리고 있습니다.

아샤 씨는 조산사 푸쉬파 씨 덕에 아기를 잃지 않았지만,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안타깝게도 매년 4000만 명의 산모가 전문적인 조산사나 의료인의 도움 없이 출산을 합니다. 가장 최근의 출산 때에 아예 아무도 없이 홀로 출산했다는 여성도 200만 명이나 됩니다. 더욱 큰 문제는 불평등입니다. 가령, 유럽 국가의 산모들은 거의 100%가 출산시에 전문 의료인의 도움을 받지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전문 의료인의 도움 없이 이뤄지는 출산이 51%에 달합니다. 또 같은 나라 안에서도 빈부와 지역 등에 따라 의료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정도에 차이가 심합니다.

의료 접근권의 격차는 사망률의 격차로도 이어집니다. 신생아 사망률을 줄이려면 모든 산모가 출산시에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보고서는, 의료 서비스에 대해 이러한 “보편 접근권”을 달성하려면 출산 관련 의료인을 양성하고 의료 시설을 확충하는 등의 투자와 함께 의료 비용 체계를 산모에게 가장 부담이 적은 방향으로 개선하는 일이 반드시 병행되어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예방 가능한 요인으로 숨지는 아이가 없게 하려는 전세계적인 노력으로 5세 미만 영유아 사망자는 1990년 1260만 명에서 2012년 660만 명으로 크게 줄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아기와 산모가 적절한 의료 조치만 받았어도 피할 수 있었을 죽음을 맞습니다. 모든 산모와 아기가 출산시에 꼭 필요한 의료 조치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일에 국제 사회의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보고서 원문을 보시려면 이곳을 클릭하세요.

게시글 윗글 아랫글
윗글 배우 김아중, ‘school me’ 캠페인의 새 얼굴이 되다
아랫글 아동권리, '영세이버' 5기가 지키겠습니다!
목록